운강 이강년 선생 생가
□ 소재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완정리 129-6외 1필
□ 문화재지정 현황
시도기념물 제 90호
□ 인물개관
본관 전주(全州). 호 운강(雲岡). 자 낙인(樂仁/樂寅). 1880년 무과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이 되었으나, 1884년 갑신정변 때 낙향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문경의 동학군을 지휘, 일본군과 탐관오리를 무찔렀다. 1895년 을미사변 때는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이어 제천(堤川)으로 유인석(柳麟錫)을 찾아가 사제(師弟)의 의를 맺고, 유인석 의병부대의 유격장으로서 문경 ?조령(鳥嶺) 등지에서 활약하였다.
1907년 일본의 침략정책이 더욱 노골화되자 영춘(永春)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켜 때마침 원주(原州) 진위대를 이끌고 봉기한 민긍호(閔肯鎬)부대와 합세, 충주(忠州)를 공격하였다. 그 후 가평(加平) ?인제(麟蹄) ?강릉(江陵) ?양양(襄陽) 등지에서도 큰 전과를 올렸다. 1908년 용소동(龍沼洞) ?갈기동(葛其洞) ?백담사(百潭寺) ?안동서벽(安東西壁) 전투 등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나, 청풍(淸風)의 금수산(錦繡山)에서 체포되어 사형당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배치구성
건물은 대문채와 안채, 광채 등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문채는 대문을 중심으로 3칸의 방과 1칸의 광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형 우진각지붕이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부엌과 2칸의 안방과 2칸넓이의 대청, 1칸의 건방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과 대청앞에는 마루를 놓았으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광채는 3칸의 광과 헛간으로 구성되었으며, 지붕은 초가이다. 이 3채의 건물이 튼□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채 부엌 옆에는 우물을 파 놓았다.
□ 내부 진열 전시: 안채 건너방에 영정이 안치되었을 뿐 전시물은 없다.
□ 편의시설 및 문화시설: 생가 앞에는 주차장 외 별다른 편의시설이 없다. 그러나 생가와 약 1㎞떨어져 이강년 선생 기념관을 건립하고 있다. 현재 공사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는데, 기념관에는 사당과 기념관, 유허비각, 관리동 등 다양한 문화 및 편의시설이 들어서고 있다.
□ 복원의 개황과 문제점
외형은 깨끗하게 정비되어 있으나 가재도구의 전시나 교육자료 등은 없음. 선생의 유물은 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
□ 기념관
기념관은 생가와 인접해 있다. 도로변에 넓은 주차장과 삼문형태의 출입구가 있고, 출입구를 들어서면 선생의 동상이 일행은 맞는다. 동상 뒷편에 기념관이 있고, 오른편에 관리실, 왼편에 추모사당이 있다. 기념관에는 생전에 사용하던 선생의 사물과 병장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그밖에도 선생이 참여한 항일 독립투쟁의 사적이 판넬로 전되어 있다.
생가 전경
생가 대문
기념관 출입구
전시관
추모사당
'위인들의 생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임진왜란, 권율,곽재우,김면,조헌,영규,배설,징비록 (0) | 2016.04.21 |
---|---|
[스크랩] 태백산호랑이 의병장 신돌석장군 생가 (0) | 2006.11.06 |